안녕하세요 *^^*언제나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다양한건강 관련 내용을 Research하여 유익한 건강정보를 전달해드리는 '나누리' 입니다. 몇일 후면 우리나라의 명절인 '설날'이네요~오늘도 활기차고 기분좋게 시작하시기 바라며, 좋은일들도 가득하길 바래요~ 코로나 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서 전 세계의 코로나 바이러스감염환자수와 사망자수가 늘어나서 안타깝습니다.코로나 접종한 분들도 코로나에 걸릴수있다고 하니 항상 건강유의하세요~ 오늘은 '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 '에 대해 알아볼텐데요.냉장고의 가장 큰 존재 이유는 식품의 신선도 유지입니다.그래서인지 집에 있는 모든 과채를 냉장고에 두는 이들이 많지만,그러면 안 되는 식품도 있습니다.'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정보의 본문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국내 코로나 19 관련 뉴스를 전해드릴께요.오늘 코로나 19 바이러스 총 신규 감염 환자수는 7,513명으로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현재 7,159명, 해외유입 354명입니다.누적 확진 환자는 총 741,413명이며, 위중증환자는 418명, 사망자수는 25명입니다. 누적 사망자 수 6,565명이며, 치명률은 0.9%입니다.내용출처: http://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위드 코로나 시대로 들어선 2021년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로전 세계의 코로나 감염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특히 연세 있으신 어르신분들 외출을자제하시고, 단체 모임은 피하세요~외출 시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시고,외출 후에는 손 소독을 청결하게 하시기 바래요~코로나 19 팬데믹으로 피해를 보신모든 분들 힘내시길 바랍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하루속히 해결되어서 이전과 같은 생활을 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희망해요^^ 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 1 '바나나'바나나는 열대과일이라 냉해에 약합니다.추운 곳에 있으면 상하고 말지요. 여름이라 초파리가 생길까봐 냉장고에 넣으셨다면 지금 꺼내시기 바래요~ 바나나는 냉해를 입으면 까만 반점이 생기고과육이 물러 맛있게 먹을 수 없습니다. 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 2 '열대과일'파인애플, 용과, 리치 등 국내에서 먹을 수 있는 열대과일은실온에 보관하면 당도가 높고 무르지 않은 상태로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차갑게 먹고 싶을 때는 먹기 직전에 잠시 넣어뒀다가 꺼내서 먹으면 되지요. 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 3 '수박'수박, 멜론 등의 과일은 수분이 많아서 냉장고에 넣으면오히려 안이 썩을 수 있는데요. 자르기 전에는 실온에 보관하다가 자른 후에 냉장 보관하는 게 좋아요.랩을 씌울 경우 세균 증식의 가능성도 있다고 하네요. 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 4 '오이'먹기도 좋고 피부에 붙이기도 좋은 오이는 냉장고에그냥 두면 추위에 약하고 수분도 많아서금방 무르거나 공팡이가 피는데요. 신문지에 하나씩 돌돌 말아 냉장보관하면 열흘 정도는 썩지 않고 버틸 수 있습니다. 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 5'토마토'토마토는 실온에서 천천히 숙성되는 야채입니다. 냉장고에 넣으면 표면이 쭈글쭈글해질 뿐 아니라 풍미가 날아가는데요. 햇볕이 없는 실온에서 익힐 때 가장 맛있다는 사실. 플라스틱 통에 담으면 금방 짓무르니 주의해야한다고 하네요. 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 6 '아보카도'아보카도는 설익을때 수확해 유통하는 후속과일인데요. 설익은 아보카도를 냉장보관하면 딱딱하고 풋내가 나게 되는데요. 오래 보관할 때는 쿠킹호일에 하나씩 싸서 야채칸에 넣어두고, 빨리 익히고 싶을 땐 사과의 에틸렌 가스가 도움이 되니사과와 함께 두면 되세요. 냉장고에 넣으면 안 되는 과채 7 '감자'감자를 냉장보관하면 특유의 맛이 사라질 뿐 아니라 건강에도 좋지 않다고 해요~ 녹말이 빠르게 당분으로 바뀌고, 발암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가 생기기 때문인데요. 종이박스에 담아서 씻지 않은 채로 볕이 들지 않는 곳에서 실온 보관할 때 가장 싱싱하게 먹을수 있다고 하네요. THANK.. 오늘 소개된 건강정보가 여러분들의 건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시길 바래요. (법적한계에 대한 고지: 본 건강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이해를 돕기위한 참고자료이며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정확한 진료가 필요합니다.) [내용출처 ]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434317&memberNo=35869883&navigationType=push[이미지출처 ] https://pixabay.com [이미지출처 ] https://www.flickr.com [이미지출처 ] https://unsplash.com [이미지출처 ] https://www.pexels.com/k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