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언제나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다양한 건강 관련 내용을 Research하여 유익한 건강정보를 전달해드리는 ''나누리'' 입니다. 여대구에는 폭염주의보가 발생됬다는군요.더위에 건강 잘 챙기시구요. 코로나 확진자가 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주의하시고, 더위도잘 이겨내시고 건강하고 활기찬 한주되세요~^^ 오늘은 '역류성 식도염과 비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평소에 밥을 먹고 나서 혹은 물만 마시고 나서도 시도 때도 없이 트림이 나고 신물이 올라와서 일상생활이 불편하신 분들이 많으신데요~ 음식을 먹을 때 삼키기가 힘들다고도 하시고 음식물을 삼킬 때 타는듯한 가슴 통증이 있다고도 하십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식도염과 관련된 질환을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서구화된 식생활과 평소 바르지 못한 생활 습관으로 인해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 식도염에 대해 알아볼께요. 건강정보의 본문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국내 코로나19관련 뉴스를 전해드릴께요.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환자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환자는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현재 1,568명, 해외유입 47명으로 총 신규감염환자수는 1,615명입니다. 현재 국내 코로나 누적 확진환자는 총 171,911명이며, 사망자수는 2명이며, 누적 사망자수 2,048명이며, 치명률은 1.2%입니다.내용출처: http://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 코로나 19바이러스가 하루속히 잡혀서 이전과 같은 생활과 문화를 누릴수 있는 날이 오기를 희망합니다!특히 연세 있으신 어르신분들 외출을 자제하시고,단체 모임은 피하세요~소상공인들과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으신모든분들 힘내시기 바래요! 외출후 비누로 손 소독 항상 청결히 하시고, 마스크 잘 착용하시어 코로나19바이러스에감염되지않고 건강하길 바랄께요~ 그럼 지금부터 '역류성 식도염과 비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원인, 예방을 위한 식습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텐데요 이글이 여러분의건강에 조금이나 도움이 되길 바래요. 식도염이란? 식도염은 위 속의 위산이 위로 역류하거나 진균, 바이러스 등의 원인으로 식도 점막에 염증이 생겨서 헐거나 짓무르는 증상을 말하는데요.크게 역류성 식도염과 비역류성식도염으로 나뉜다고 해요. 식도염의 종류 1 비역류성 식도염 ①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칸디다균이나 진균, 바이러스에 감염되어서 염증이 생기는 경우로 급성 가슴 통증이나 메슥거림, 구토 등이 나타납니다. ② 알레르기 질환인 아토피나 알레르기 비염, 천식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호산구 식도염의 경우로 주로 소아에게서 삼키는 것을 힘들어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③ 특정 약제로 인해 화학적 성분이나 점막에서 접촉시간 정도 등에 따라 식도가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식도염의 종류 2 역류성 식도염 위산이 역류해서 식도 하부에 궤양을 일으키거나 식도하부의 염증 소견 없이 가슴 통증이나위산 역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위산 역류의 원인 2010년 미국의 통계에 따르면 병원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약물은 콜레스테롤 저하제인 리피도 였지만 흥미롭게도2위를 차지한 약물은 보통 역류성 식도염 치료에 널리 쓰이는약물 중 하나인 위산분비 억제제인 넥시움이었다는 사실입니다. 속 쓰림으로 일잔병원을 찾는 환자들 가운데 내시경 검사에서식도와 위장의 점막이 붉게 충혈된 염증이나 위 점막이벗겨져 있는 미란(糜爛)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가슴 가운데통증을 느낀다면 거의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을 받을 것입니다. 더불어 제산제나 위산 분비 억제제를 처방받게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하지만 많은 환자분들은 일시적인 증상 완화 이후 약물 복용이끝나면 다시 고통스러운 가슴 통증을 경험하게 되고 반복적인약물복용과 이에 따른 부작용의 악순환에서벗어나지 못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증상 가운데 아무런이유가 없는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위산의역류도 이유 없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위산과다가 원인이라고 보기 때문에 위산 분비를억제시키거나 위산을 중화시키면 해결될 것이라고 쉽게 결론짓고그래서 그런 기전을 가진 약물들이 수없이만들어지고 처방되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모순되게도 위산이 역류될 만큼 많이 나오는데 대부분의역류성 식도염 환자들은 소화불량을 같이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그럴까요?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위벽이 늘어나고 가스트린 호르몬이분비되면서 위장으로 하여금 염산과 펩시노젠을분비하도록 촉진하게 됩니다.이 펩시노젠은 염산에 의해 펩신이라는 소화효소로 바뀌어서단백질의 소화를 돕게 되는데 이 모든 것을 위액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이러한 소화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위장 안의 내용물이식도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식도와 위장 사이에 분문이라는괄약근이 있어서 꽉 닫아주는 뚜껑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만약 음식물을 소화 시키기에 위산이 부족하거나 위산자체가 충분히 강하지 않으면 가스트린이 계속 분비되고결국 이것 때문에 분문 괄약근이 느슨해져서 위액이식도로 역류하게 되는 것입니다.위산은 염산입니다. 산염기 농도가 ph1~2 정도 되는 매우강한 산성을 띄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위산이 강하지 못한 것이 소화불량과 역류성 식도염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또한 인류가 그동안 접해보지 못했던 첨가물이 들어가고가공된 인스턴트식품 섭취,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 스트레스상황 노출, 카페인이나 알코올, 담배 등도 근육을이완시켜 식도 괄약근의 힘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됩니다. 식도염 예방을 위한 올바른 식습관 여기서 잠깐 생각해 보아야 할 점이 있는데요. 위산을 묽게 만드는 아주 나쁜 식습관에 관해서입니다.그건 바로 너무 싱겁게 먹는 식습관입니다. 최근 늘어나는 대사증후군 환자들 때문에 크게오해받는 죄인 취급 당한 존재가 있는데 대표적인 소금이 그 주인공입니다.예부터 소금은 인류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존재였음에도단지 혈압을 올려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으로지목받아 왔습니다만, 사실 우리 인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분의 농도는 바닷물과 흡사한 0.9% 소금물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실제 소금 섭취가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는직접적인 증거가 불분명하다는 연구 보고가 많아지면서소금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변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대부분의 위액은 염산이고 인체의 구성 물질 중에 많은 것이 수분이라서 수소(H+)의 공급은 충분한 반면 염화물(Cl-)의 공급은 소금을 통하지 않고는 힘들다는 것을 생각해야 합니다.소화액이 진해야 음식을 제대로 소화시킬 수 있어서 각종미네랄과 비타민이 흡수가 이뤄지며 또한 음식을 통해들어오는 세균도 사멸시켜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것입니다.적당량(하루 5~7g)의 소금 섭취를 통해 짠맛을 공급함으로써 강한 소화액을 만들고 우리 몸의 체액에서 노폐물과 독소를 제대로 해독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또한 환자 본인의 생활습관이 문제를 일으키고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스스로 자극적인 음식과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을 멀리하며 필요한 양의 소금 섭취를 위해 무염식에 가깝게 너무 싱겁게 먹지 않도록 식습관을개선하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지금까지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원인, 한의약적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시간에는 혈관 청소에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HANK.. 이렇게 ‘속타는 아픔! 역류성 식도염과 비역류성 식도염 '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누리 건강정보가 여러분들의 건강과 행복한 삶에 도움이 되길 바랄께요. (법적한계에 대한 고지: 본 건강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이해를 돕기위한 참고자료이며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정확한 진료가 필요합니다.) [내용출처] https://blog.naver.com/kuly17/222409941136[이미지출처 ] https://pixabay.com [이미지출처 ] https://www.flickr.com [이미지출처 ] https://unsplash.com [이미지출처 ] https://www.pexels.com/k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