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언제나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다양한 건강 관련 내용을 Research하여 유익한 건강정보를 전달해드리는 ''나누리'' 입니다. 폭염이 계속 되어 정말 무더운 여름인데요? 무더위에 건강 잘 챙기시구요. 코로나 확진자가 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주의하시고, 더위도잘 이겨내시고 건강하고 활기찬 한주되세요~^^ 오늘은 '열받으면 생기는 온열질환의 증상'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안녕하세요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나타나면서 한국에도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데요. 체감온도 40℃를 웃도는 기록적 폭염에 20대 군인이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일까지 발생했다고 해요. 질병관리청은 폭염 재난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하며 주의할 것을 권고했는데요. 갑작스러운 더위에 신체가 적응하지 못하면 두통을 비롯한 여러 증상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해요.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증상을 방치했다간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는데요. 다양한 온열질환의 증상을 살펴보고, 질환별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께요. 건강정보의 본문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국내 코로나19관련 뉴스를 전해드릴께요.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환자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환자는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현재 1,152명, 해외유입 50명으로 총 신규감염환자수는 1,202명입니다. 현재 국내 코로나 누적 확진환자는 총 201,002명이며, 사망자수는 5명이며, 누적 사망자수 2,104명이며, 치명률은 1%입니다.내용출처: http://ncov.mohw.go.kr/bdBoardList_Real.do 코로나 19바이러스가 하루속히 잡혀서 이전과 같은 생활과 문화를 누릴수 있는 날이 오기를 희망합니다!특히 연세 있으신 어르신분들 외출을 자제하시고,단체 모임은 피하세요~소상공인들과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으신모든분들 힘내시기 바래요! 외출후 비누로 손 소독 항상 청결히 하시고, 마스크 잘 착용하시어 코로나19바이러스에감염되지않고 건강하길 바랄께요~ 그럼 지금부터 '폭염 주의! 열 받으면 생기는 온열질환 증상 5가지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텐데요. 이글이 여러분의건강에 조금이나 도움이 되길 바래요. 열 받으면 생기는 온열질환 증상 1 두통, 어지러움, 구토 증상 이른바 ‘일사병’으로 불리는 ‘열탈진’은 몸이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어 체온이 37~40℃까지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열로 인해 땀을 많이 흘리는 바람에 몸속에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지면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두통, 어지러움, 피로감, 발열,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얼굴이 창백해지면서 실신할 것처럼 갑자기 몸에 힘이 없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신체 내부의 혈액량이 감소하고, 뇌로 가는 혈액량이 부족해지면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열실신’ 상태도 나타날 수 있다.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거나 오래 서 있을 때 발생한다. 어지럼증과 같은 열탈진 증상이 나타날 경우 그늘과 같은 서늘한 곳에서 안정을 취해야 한다. 물과 전해질을 보충해 주면 30분 이내에 회복되는 게 보통이지만 일시적 열실신이 나타났다면 시원한 장소로 몸을 옮긴 뒤 평평한 곳에 뉘고 다리를 머리 보다 높게 두어 뇌 혈류량을 최대로 늘리는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앉아있을 경우에는 머리를 양 무릎 사이로 내린다. 열 받으면 생기는 온열질환 증상 2 열사병: 더운데 땀이 나지 않는다면! 고온다습한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몸의 체온조절중추가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하고 그 기능을 상실하면서 열사병이 생길 수 있다. 열탈진과 증상이 비슷해 보이지만 열사병은 체온이 40℃ 이상으로 오르고, 땀이 나지 않는다는 데서 다르다. 대신 메스꺼움, 구토, 시력 장애, 피부가 붉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의식을 잃고 쓰러질 수도 있다. 열사병은 온열 질환 중 치사율이 가장 높기 때문에 의심된다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기다리는 동안 체온을 낮추는 데 집중해야 한다. 환자를 그늘로 이동하고, 옷을 느슨하게 한 뒤 손수건이나 벗긴 옷에 물을 적셔 몸을 닦아 체온을 낮춘다.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몸을 식히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얼음주머니가 있거나 편의점에 갈 수 있는 상황이라면 얼음이 담긴 컵을 구입해 양쪽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무릎이 구부러지는 안쪽 부분에 얼음을 대어 체온을 낮춘다. 환자에게 찬물을 마시게 하는 건 체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물이 바로 기도로 넘어가 폐 손상 등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지 않는다. 열 받으면 생기는 온열질환 증상 3 열경련: 무더위 속에서 운동한 뒤 근육 경련이 날때! 더위 속에서 운동이나 강한 노동을 하며 평소보다 땀을 많이 흘릴 경우 종아리, 허벅지, 어깨 등의 근육에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열경련’이라 한다. 체내 나트륨 또는 칼륨, 마그네슘 등이 부족하여 근육경련이 발생하는 것으로 열경련이 나타나면 시원한 그늘에서 해당 부위를 스트레칭을 해주도록 한다. 이후 최소 몇 시간 정도는 격렬한 운동을 피하고 안정을 취하면서 전해질이 포함된 수액을 마시거나 보충하면 회복된다. 전해질 음료가 준비돼 있지 않을 땐, 1리터 물에 티스푼으로 소금 한두 스푼을 넣은 것으로 보충할 수 있다. 열 받으면 생기는 온열질환 증상 4 열부종: 손, 발이 부을때! 체온이 높아지면 우리 몸은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몸의 표면으로 혈액을 끌어모은다. 이때 신체 내부의 혈액량은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혈관이 확장된 상태가 오래 유지되면 혈액 내 수분이 혈관 밖으로 이동하면서 몸이 붓는 부종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주로 손, 발이나 발목 부위에 나타나는데 보통 햇볕에 노출되고 2~6시간 지나면 증상이 나타나며, 24시간 지났을 때 부종이 가장 심하다. 이런 증상이 나타났다면 시원한 장소로 자리를 옮긴 뒤 평평한 곳에 누워 부종이 발생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두어 증상이 나아지도록 한다. 열 받으면 생기는 온열질환 증상 5 열발진: 작은 발진과 물집이 생겨난다면! 우리 몸은 체온 조절을 위해 땀을 몸밖으로 배출한다. 이때 땀관이나 땀관 구멍의 일부가 막혀서 땀이 원활히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면 작은 발진이 발생할 수 있다. ‘땀띠’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 ‘열발진’은 여러 개의 붉은 뾰루지 또는 물집 형태로 나타난다. 주로 목, 가슴 상부, 사타구니, 팔, 다리 안쪽 등 접히는 부위에 생긴다. 열발진이 나타났다면 환부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렵고 따갑다고 해서 자꾸 만지면 안 된다.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만질 경우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건조한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발진용 분말가루 및 연고 등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온열질환을 막는 생활습관 폭염이 계속될 땐 몸이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자주 물이나 이온음료 등을 마시는 것이 좋다. 술은 체온을 상승시키고, 다량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으로 인한 탈수를 유발하므로 많이 마시지 않는다. 따뜻한 물 대신 시원한 물로 목욕 및 샤워를 하고, 몸에 딱 달라붙는 옷보다 헐렁하고 가벼운 소재의 옷을 입는다.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밝은 색깔의 옷을 입으면 더위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루 중 가장 더운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되도록 외출하지 않고, 부득이하게 외출할 때는 양산, 모자 등 최대한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준비를 하고 나가는 것이 좋다. 운동은 아침 일찍 또는 해가 진 뒤 하고 운동 중에 자주 물을 마셔 수분을 공급해 준다. 집안에서도 열사병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창문을 열어 자주 환기하도록 한다. THANK.. 이렇게 ‘폭염 주의! 열 받으면 생기는 온열질환 증상 5가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누리 건강정보가 여러분들의 건강과 행복한 삶에 도움이 되길 바랄께요. (법적한계에 대한 고지: 본 건강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이해를 돕기위한 참고자료이며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정확한 진료가 필요합니다.) [내용출처]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028808&memberNo=23519771&navigationType=push[이미지출처 ] https://pixabay.com [이미지출처 ] https://www.flickr.com [이미지출처 ] https://unsplash.com [이미지출처 ] https://www.pexels.com/ko-kr